모든 콘(텐츠)은 넷플(릭스)로 통한다_2
수년간 넷플릭스의 콘텐츠 수급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시작해서 현재는 스포츠, 지상파 콘텐츠 등 대부분의 콘텐츠를 수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콘텐츠 유통 지형도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 레거시 미디어들도 확실한 혁신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최근 있었던 넷플릭스와 프랑스 최대 민영방송사 TF1의 서비스 공급계약과 유사한 사례
모든 콘(텐츠)은 넷플(릭스)로 통한다_1
수년간 넷플릭스의 콘텐츠 수급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시작해서 현재는 스포츠, 지상파 콘텐츠 등 대부분의 콘텐츠를 수급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콘텐츠 유통 지형도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 레거시 미디어들도 확실한 혁신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최근 있었던 넷플릭스와 프랑스 최대 민영방송사 TF1의 서비스 공급계약의 개요 및
티빙-웨이브 합병, 국내 OTT 시장의 최대 변수 - 두번째 이야기
이전 뉴스레터에 이어 부정적 영향 반면 부정적 영향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시장 경쟁 감소와 요금 인상 우려가 우선적으로 제기될 수 있다. 두 OTT가 합쳐지면 국내 OTT 시장의 주요 사업자가 4개에서 3개로 줄어들어 경쟁 약화가 불가피하다. 공정위도 시장집중도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가능성을 지적하며 내년 말까지 요금 동결을 조건으로 건 만큼, 합병
티빙-웨이브 합병, 국내 OTT 시장의 최대 변수 - 첫번째 이야기
국내 토종 OTT 업계의 오랜 숙원이던 티빙-웨이브 합병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아 현실화에 한 발 다가섰다. 그러나 아직 마지막 관문은 2대 주주 KT의 동의다. KT는 티빙 지분 13.5%를 보유한 주요 주주로서 합병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왔으며, 결국 KT의 결정이 합병 성사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브로드웨이를 울린 작은 로봇들의 노래
6월 8일(현지 시각). 뉴욕 라디오시티 뮤직홀 무대 위에서 박천휴와 윌 애런슨 듀오의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제78회 토니상 10개 부문 노미네이트, 트로피 6개를 품에 안았다. “최우수 뮤지컬·극본·음악·연출·남우주연·무대디자인”까지, 올해 시상식의 최다 수상작이다. 브로드웨이 관객 1,470만 명이 만든 사상 최대 흥행 시즌을 통째로
트럼프發 ‘Make Hollywood Great Again’—정책·통상·K-콘텐츠 파급전망
1. Brief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Make Hollywood Great Again”을 내세우며 헐리우드 영화산업의 재도약을 계획하고 있다. MAGH의 핵심 키워드는 "해외촬영 억제용 관세"와 연방 차원의 신(新) 제작 인센티브라고 할 수 있다. 할리우드와 주정부, 노조, 글로벌 파트너가 이해득실을 저울질하는 가운데, K-콘텐츠 산업도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2. MHGA 연혁
한국전파정책학회 정책토론회 행사 공지
□ 제 목 o 바람직한 주파수 재할당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 일시 및 장소 o 일 시: 2025. 5. 14.(수), 14시 30분 o 장 소: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19층) □ 프로그램(안)시간 프로그램 14:30~14:45 개회식 • 개회사 : 김진기 회장(한국전파정책학회) • 축 사 : 김남철 국장(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 ※ 기념 촬영 사회
FCC Brendan Carr 위원장, 취임 100일 성과 발표
2025년 4월 29일, Brendan Carr FCC 위원장은 취임 후 100일 동안의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그는 "FCC는 빠른 출발을 했으며, 이미 훌륭하고 효율적인 결과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다음은 카 위원장이 제시한 주요 성과이다. 초고속 인프라 구축 촉진통신사업자가 구리 전화선을 폐지할 때 간소화된 절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초고속 네트워크에 대한
디지털 무역의 진화와 한국의 과제: 무역장벽 보고서 속 현실
이 뉴스레터는 2025년 3월 29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발표한 『2025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2025년 외국 무역장벽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보고서는 미국의 주요 교역국이 자국 기업에 미치는 무역 장벽 및 제도적 제한 요인을 분석한 연례 자료로,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와 정책 대응의 방향성을
AI Infra 시장 진입, 통신사(Telco)의 새로운 성장 기회
출처: 다음은 McKinsey & Company, 『AI infrastructure: A new growth avenue for telco operators』 (2025년 2월)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통신사업자들과 정부, 국회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습니다. 맥킨지 리포트에서 NPU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한국은 GPU외에 NPU를 국가적인 역량을 총동원하여 자체개발하고 통신사와 협력하여, 현재 국내에 머물러 있는 통신사 인프라를 AI시대에는 글로벌화하는